
40~50대에 접어들며 급격하게 변한 눈매 때문에 고민을 토로하는 중년층이 늘고 있다. 과거 매끈했던 눈 밑이 나이가 들면서 지방이 불룩하게 튀어나오고 그 아래로 깊은 고랑이 패여 자리 잡게 되면서 주변에서 피곤해 보인다거나 아픈 곳이 있느냐는 우려 섞인 인사를 듣기 일쑤다.
이처럼 화장으로도 가려지지 않는 칙칙한 다크서클과 주름진 피부는 실제 나이보다 훨씬 들어 보이게 만든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형외과를 방문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실제로 눈은 나이가 들면서 노화의 징후가 가장 먼저, 그리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위 중 하나다. 세월이 흐르면 눈 주변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고, 눈 밑 지방을 지탱하던 안와격막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지방이 불룩하게 튀어나오고 피부가 늘어지면서 깊은 주름과 다크서클이 형성된다. 이러한 변화는 본래 나이보다 더 늙어 보이게 만들 뿐만 아니라, 피곤하고 우울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안면 하안검거상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중안면 하안검거상 수술은 대표적인 중년 눈수술로, 처진 피부와 불필요한 지방을 제거하고 필요한 부분에 지방을 재배치해 눈 밑을 매끄럽게 만드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단순히 눈 밑을 평평하게 펴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눈 밑의 처진 조직을 끌어올리고, 꺼진 부위는 채워 넣어 눈 밑뿐만 아니라 중안면부의 입체감과 볼륨까지 회복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중안면 하안검거상은 수술의 난도가 높은 만큼, 자칫 잘못된 접근으로 인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부작용으로 재수술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수술 후에도 피부가 다시 처지거나 지방이 튀어나오는 경우, 과도한 지방 제거로 인해 눈 밑이 움푹 꺼지는 현상 등이 있다. 심한 경우 아래 눈꺼풀이 뒤집어지는 ‘안검외반’ 증상이 나타나 미용적 문제는 물론 안구 건조, 눈시림, 이물감 등 기능적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중안면 하안검거상 재수술은 이미 손상된 조직을 다뤄야 하며, 미용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눈의 기능적 회복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첫 수술보다 난도가 높다. 따라서 재수술의 위험을 피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지식이 풍부하고 임상 경험이 많은 성형외과 전문의를 통해 체계적인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JW정원성형외과 최홍림 원장은 “중안면 하안검거상은 단순히 늘어진 피부를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눈 밑과 중안면부의 구조적 조화를 고려해야 하는 섬세한 작업”이라며 “재수술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숙련된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본인의 눈 상태에 최적화된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