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39개 의과대학 중 15개 대학이 2026학년도 정시에서 사탐 응시자 지원을 허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개교에서 4개가 늘어난 것으로, 확률과 통계 및 사탐을 선택한 수험생들의 의대 지원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합은 일반적으로 인문계 학생 비중이 높지만, 최근에는 자연계 수험생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다.
다만, 탐구 선택이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수 대학이 미적분/기하 또는 과탐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 ‘확률과 통계+사탐’ 조합으로 지원하는 수험생의 실제 합격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 의대 39개교 중 15개 ‘사탐 응시 허용’, 치대·약대도 확대
올해 의대 정시모집에서는 전체 39개 대학 중 15개교(38.5%)가 사탐을 허용한다. 가톨릭대, 경북대, 부산대가 올해 수학 및 탐구 지정과목을 모두 폐지했으며, 고려대는 탐구에만 지정했던 선택과목을 없애면서 마찬가지로 필수 응시과목이 없어졌다.
[표] 의/치/약대 정시 수능 필수 응시과목 미지정 대학(2025학년도 vs 2026학년도)

치대와 약대에서도 사탐 허용 대학이 증가했다. 치대에서는 올해 경북대와 부산대가 지정과목을 폐지하면서, 11개 치대 중 5개교가 확률과 통계, 사탐 응시자도 지원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약대에서도 4개 대학이 추가로 지정과목을 없애, 총 37개 대학 중 13개교가 필수 응시과목을 두지 않는다. 특히 약대는 지정과목이 없는 13개 대학 중 11개 대학이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인문계 수험생 등 확률과 통계 및 사탐에 응시한 최상위권 학생들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핵심 변수는 ‘가산점’… 탐구 지정 완화에도 실질 경쟁력은 여전히 과탐 중심
하지만 사탐 허용 확대가 곧바로 ‘사탐 응시자의 합격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대학이 미적분/기하 또는 과탐 응시자에게 3~5%, 많게는 1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 확률과 통계 및 사탐을 선택한 수험생들은 점수 산출 시 이러한 점을 감수해야 한다. 점수대가 촘촘한 최상위권 특성상, 가산점 3~5%만으로도 합격선이 크게 갈려 실질 합격선은 여전히 자연계(미적분/기하, 과탐 응시)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표] 2026학년도 의/치/약대 중 필수 응시과목 미지정 대학의 가산점 반영 현황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사탐 허용으로 의·치·약대 교차지원 폭은 넓어졌지만,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여전히 수학과 탐구 반영 방식”이라며 “대다수 대학이 미적분/기하 또는 과탐에 가산점을 주는 만큼, 인문계 과목 응시자는 대학별 수능 반영 방법을 반드시 세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