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수능에서 수학 1등급을 맞은 학생의 약 80%는 ‘미적분’이나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추정된다. 전년도 92.%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 반면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고 수학 1등급을 받은 수험생의 비율은 지난해 7.7%보다 크게 오른 20.7%로 예상된다.
종로학원이 16일 자체 표본을 분석한 결과,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자의 1등급 차지 비율이 79.3%로, 지난해 92.3%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6학년도 수능 접수자 기준 ‘미적분’을 선택한 수험생은 전년 대비 3만 6617명(15%) 줄었다. ‘기하’ 선택자도 전년 대비 0.5% 감소했다. 반면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험생은 전년도에 비해 6만 4615명(27.7%)이 늘어난 상황. 수능 접수자 기준으로는 문과 수험생이 상당히 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
이처럼 수능에서 문과 학생들의 층이 두터워졌고, 2026학년도 수능 가채점 결과에서도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험생 중 우수한 학생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자, 올해는 순수 이과생의 문과 교차지원이 쉽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 체제 도입 이후, 수학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격차가 커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학생이 인문계열 학과로 지원해 합격하는 상황이 다수 발생했다.
2025학년도의 경우 한양대 인문계열 학과 합격자 중 87.1%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이었고, 이 같은 비율은 다른 대학에서도 서강대 86.6%, 건국대 71.9%, 서울시립대 66.9% 등으로 높게 나타났던 상황.
임성호 하늘교육 대표는 “올해의 경우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능 접수자가 크게 증가했고, 수학 1등급에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험생이 차지하는 비율도 크게 높아지면서 이과 수험생의 문과 교차지원 합격 비율이 줄고, 문·이과 구분 없는 무전공 선발전형에서도 이과생보다 문과생의 합격 비율이 지난해보다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문과 수험생 자체가 늘어나 인문계열 학과의 입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사탐 런으로 인한 사탐 고득점자가 증가하면 인문계열 학과의 합격선은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