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DB
동아일보 DB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진행 중인 가운데 메가스터디교육이 수학영역에 대해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게 출제됐다”면서 “확통과 기하는 어려운 반면 공통과목과 미적분은 평이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메가스터디교육이 분석한 세부 출제경향을 보면, 공통 과목과 ‘미적분’은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됐으며, ‘확률과 통계’ 및 ‘기하’는 전년 수능보다 어렵게 출제됐다. 다만, 전반적인 출제 유형과 기조가 지난 6,9월 모의평가와 유사해 모의평가를 충분히 분석하고 공부했다면 풀이에 큰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과목별 까다로운 문항을 꼽자면, 공통과목은 전반적으로 평이한 가운데 21번, 22번이 고난도 문항으로 까다로웠다.

선택과목 중 확률과 통계에선 28번 문항을 조건부확률의 심화 성질을 이용하는 최고난도 문항으로 꼽았다. 지난 6,9월 모의평가보다 어렵다는 평가. 30번 문항은 경우의 수로 오답이 나오기 쉽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추론할 수 있어 정답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제됐다.

미적분에선 역함수의 그래프와 직선과의 관계 추론에 대한 30번 문항이 지난 9월 모의평가 30번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

기하의 29번 문항은 타원과 포물선의 정의를 사용하여 길이를 구하는 문항으로 익숙한 주제가 출제되어 풀이 방향을 잡기가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30번 문항은 위치벡터의 개념과 내적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해하여 원 위에 있는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문항으로 기하파트에서는 가장 변별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작권자 © E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