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학생의 기초학력 진단 참여율이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 서울시교육청이 학력 저하 문제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있다.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도봉2, 국민의힘)은 10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서울시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더는 방치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시교육청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홍 의원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서울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참여율은 고작 20.2%에 그쳤다. 전국 평균 79.2%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서울 중학생 10명 중 8명은 기초학력 진단조차 받지 못한 셈이다.
홍 의원은 “서울이 평가 참여율 전국 최하위인 것은 평가를 ‘줄 세우기’로 잘못 인식한 결과”라며 “기초학력 진단은 학습 부진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근식 교육감은 “기초학력은 학생의 기본권”이라며, “교실–학교–학교 밖으로 이어지는 다중 학습 안전망을 더 강화해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홍 의원은 “서울시교육감의 문제 인식은 평가할 만하지만, 행동이 뒤따르지 않는다”며, △평가 인식 개선 △평가 참여율 80% 이상 목표 설정 △전 자치구 학습진단성장센터 조기 설립 △일반 학습 부진 학생 대상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서울시교육청이 기초학력진단평가 참여율을 높이는 노력을 보여주지 않는 한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