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시가 야심 차게 추진한 한강버스 사업이 심각한 소음과 부실 공정 문제로 예정된 운항이 불투명해지면서, 대규모 예산 낭비 논란에 휩싸였다.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7일 열린 제328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한강버스의 기술적 결함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의원이 환경수자원위원회의 현장 방문을 통해 직접 탑승한 결과, 가장 심각한 문제는 견디기 힘든 수준의 소음과 진동이었다. 특히 배 후미에서 측정된 발전기 엔진 소음은 75~85dB에 달해 일반적인 대화가 어려운 수준으로, 매미 소리나 철도 소음을 능가하는 수치다.
서울시는 한강버스의 핵심 가치를 ‘만원 버스나 지하철 대신 한강의 풍경을 여유롭게 즐기며 이동하는 것’으로 홍보해왔지만, 현재의 소음 수준으로는 이러한 장점이 무색해진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서울시의 부실한 사업자 선정과 관리 체계다. 이 의원은 “서울시는 자체 공장도 없고 하이브리드 선박 제작 경험이 전무한 업체에 200억 원이 넘는 선박 제작을 맡겼다”며 “업계 전문가들이 2024년 10월까지 납품이 어렵다고 경고했음에도, 서울시는 해당 업체의 납품 가능 주장만 믿고 계약을 체결했다”고 비판했다. 현재 이 업체는 자체 공장 없이 다단계 하청을 통해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이로 인해 품질 관리 부실과 공정률 지연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실제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공정률 자료에 따르면, 3~8호선 선박의 제작이 크게 지연되고 있으며, 6·8호선은 7~8월에나 한강에 도착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언한 ‘상반기 운항 시작’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이 의원은 “한강택시가 서울시의 대표적 실패 사업으로 전락했던 모습을 다시 보고 싶지 않다”며 “서울시는 화려한 수사 뒤에 숨겨진 한강버스의 치명적인 결함을 외면하지 말고 실질적인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강버스 사업의 총체적 부실은 서울시가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충분한 사전 검토와 철저한 관리·감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며 서울시에 대해 ▲부실한 협약서 보완 ▲연간 40억 원에 달하는 혈세 부담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관리 ▲동절기 전기추진체 멈춤 사고 대비 안전관리 매뉴얼 마련 등을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