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 [2023 6월 모의고사] 진학사 “언어와매체 중 문법은 다소 까다로웠다”
  • 김재성 기자

  • 입력:2023.06.01 10:53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이하 모평)가 오늘(6월 1일) 실시된 가운데 진학사는 “국어가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된 가운데 언어와매체 중 문법 부분은 다소 까다롭게 출제됐다”고 밝혔다.

 

진학사의 분석에 따르면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에서는 독서 지문의 길이가 다소 짧고, 지난해 수능과 문항 유형은 유사하게 출제되어 지난해 수능과 유사한 난이도를 보였다. 문학도 출제 작품과 문항의 난이도가 다소 평이한 점을 고려하면 졸업생 및 N수생들이 재학생보다 무난하게 풀어냈을 것으로 예측된다.

 

화법과작문 파트는 지난해 수능과 유사한 문제 유형, 지문 길이 및 정보량을 보이고 있어 모의고사 훈련을 열심히 한 학생이면 무난하게 풀어냈을 것으로 보인다.

 

언어와매체 파트는 크게 언어(문법) 영역과 매체 영역으로 나뉘는 데, 매체는 지난 수능과 크게 달라진 점이 없이 평이하게 출제되었다. 다만 ‘언어(문법)’는 문법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돼 조금 까다로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독서 파트에선 6번, 11번, 16번을 킬러문항으로 꼽았다. 6번은 지문에 제시된 공포 소구 실험 및 위협, 효능감 수준의 상관관계 파악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상관성 파악 및 각 집단에 대해 위협 수준과 효능감 수준을 적절히 따지지 못한다면 시간이 다소 걸렸을 것으로 보인다. 11번은 <보기>에 제시된 그래프를 이해하고, 지문에 제시된 촉매활성 및 흡착 세기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문제를 풀어야 한다. 역시 상관성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는 문제기에 이에 대한 파악이 어려웠다면 오답을 고를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16번은 <보기>에 제시된 상황을 파악하여 지문의 정보를 연관 짓는 문제이다. 지문에 제시되고 있는 각 ‘입장’들에 대해 이해하고 그들의 핵심 주장을 <보기>의 상황에 대입해 풀어야 하므로 지문의 내용을 잘 파악하지 못할 시 고득점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진학사는 “EBS 교재에서 여러 문제가 연계됐기 떄문에 앞으로 EBS 교재 학습을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에듀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3.06.01 10:53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