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 ‘의대 불패시대’ 과거에는? SKY 시대별 인기학과 살펴보니…
  • 김수진 기자

  • 입력:2023.05.04 10:55

 


동아일보 DB
 

 

바야흐로 의대 선호 시대다. ··고교생은 물론 유치원생도 의대 입시를 위해 사교육을 받는 세상인 것이다. 오래 전부터 의대 선호 기조가 통상적인 것이긴 했지만 최근 더 두드러지고 있다. 의대 뿐 아니라 소위 말하는 전화기(전기전자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 학과또한 취업이 잘 되는 학과로 인식되어 많은 학생들의 희망학과 1순위이다.

 

그렇다면 시대별로 어떤 학과가 인기였을까? 진학사가 1964학년도부터 2023년학년도까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이른바 SKY)의 학과별 합격 점수(진학사 데이터)를 통해 인기학과를 살펴봤다.

 

[표] 고려대·서울대·연세대 시대별 인기학과(인문계열)



 

 

인문계열은 자연계열에 비해 인기학과의 연도별 변동이 크지 않았다. 60년대부터 경영학과와 경제학과 등 상경계열 학과와 사회과학계열 학과의 인기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다만 2000년대 들어 신문방송, 미디어, 언론홍보영상 학과의 인기는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고, 1960년대~2000년대까지 인기가 많았던 사범계열학과의 경우 임용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현재는 인기가 다소 주춤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세대를 제외한 두 대학의 어문계열과 인문계열 학과의 인기는 그리 높지 않았고, 이는 2000년대 이후 취업과 관련되어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2009년부터 로스쿨이 개설된 대학에서는 법학과가 없어졌는데, 이후 로스쿨 지원에 유리한 자유전공학부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표] 고려대·서울대·연세대 시대별 인기학과(자연계열)



 

 


서울대의 경우 60년대에는 의예과의 순위가 중위권 공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면, 80년대 이후 최상위권으로 올라섰다. 고려대는 1971학년도 의예과를 처음 선발할 당시 공업경영, 산업공학에 이어 의예과가 3위를 기록했고 그 이후에는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연세대의 경우 60년대부터 의예과가 대표 인기 학과였고 치의예과는 70년대까지 인기가 중위권이었으나, 현재는 의예과 다음으로 선호도가 높다.

 

자연계열의 경우 1960~70년대에는 세 대학 모두 화학공학의 인기가 가장 높았다. 소위 말하는 전화기(전기전자, 화학공, 기계공)학과는 196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도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이한 점은 1980년대에 자연과학분야의 물리학과 등은 공대와 더불어 최고의 수재들이 몰리는 학과였는데, 현재는 물리학과를 비롯한 자연과학에 대한 학생의 선호는 매우 낮아졌다는 것이다. 다만 기초학문을 배우는 자연과학에서도 변화가 있었는데, 물리에 비해 화학이나 생명관련 학과는 2010년대에는 인기가 상승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이는 기초과학분야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이라기보다는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화학이나 생명관련 학과로 몰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전원이 폐지되면서 관련 학과의 인기는 컴퓨터관련 첨단학과에 자리를 내 주게 되었다.

 

2020학년도 이후 첨단학문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른 컴퓨터, 인공지능, 데이터사이언스, 모빌리티 관련 학과의 인기가 가파르게 상승했다. 서울대를 비롯한 고려대, 연세대 모두 관련학과가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고, 이런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학과의 선택기준이 취업과 연계된 실용학문위주로 전환되면서 자연계열 학과의 인기는 의·약학계열과 컴퓨터관련 학과로 재편되었고, 이런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문계열의 경우 학령인구 감소등의 영향으로 임용절벽이 생긴 교대와 사범계열의 경쟁률 하락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입력:2023.05.04 10:55
  • 저작권자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목록

  • 위로

작성자 필수
내용
/500글자
    • 윤진한
    • 2023.05.05 03:51
    • 대학은 가급적 학벌이 좋은 Royal대인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나,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세워진, 귀족계파 예수회 산하의 서강대의 Royal 대학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일류, 명문대학들입니다. 그리고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및 그 추종세력들)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이 없어온 사유로, 무어라고 주장해도, 한국에 학벌이 없으며 일류.명문 타이틀도 부여받을 수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068858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