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기업 코난테크놀로지(대표 김영섬)는 울산과학기술원(이하 ‘울산과기원’)의 스마트캠퍼스-챗봇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번 챗봇 시스템은 1차적으로 정보전산 서비스와 헬스케어센터 민원을 시작으로 2~3차에 걸쳐서 종합 학생 편의 및 안내 서비스 준비, 학사 정보 등 관련 개인화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또한 기관 내 다양한 부서의 업무별 민원들을 추가 적용할 계획을 가지고 점차적으로 확대해나가며 종합 민원 서비스로 이용될 계획이다.
먼저 정보기술팀, 전략팀 등 정보화 부서 민원, 그리고 헬스케어센터 정보 안내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FAQ를 기초로 하여 단순 반복적인 민원의 패턴을 분석 후, 업무 특성을 고려한 시나리오 설계를 진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민원 응대 업무에 효율적인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업무 관련 간단한 문의를 근무시간 이외에도 질의하여 만족스러운 답을 얻도록 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결과 해당 관련 업무 처리 효율성이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4시간 언제 어느 때나 간단한 채팅을 통하여 복잡한 웹사이트 내 검색작업 없이, 쉽고 간편하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 역시 높아질 전망이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스마트캠퍼스 챗봇 구축에 앞서, 데이터 컨설팅을 행할 예정이다. 기존 FAQ 기초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후, 대상 부서별 담당자와 인터뷰하여 민원업무 규모•범위, 업무 프로세서 및 처리패턴을 상세 분석 및 설계한다. 특히 부서 혹은 업무 별로 각기 다른 특성을 파악하여 챗봇 구현 방법에 반영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답변 방식으로 발화하도록 데이터를 가공하고, 최종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스마트캠퍼스-챗봇 구축 사업은 기존 울산과기원의 교내 시스템과 연계하여 차세대 기술을 특성화 대학에 도입한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과기원의 포털사이트 등 웹사이트는 물론 모바일 앱에서도 스마트캠퍼스 챗봇 사용이 가능해진다. 챗봇 서비스 내에서 UNIST 기초자료, 서식, 학칙•규정, 매뉴얼 등 검색부터 PC-A/S 등록 등 ITMS 연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다. 또 Push 알림 수신, SSO 통한 개인별 맞춤형 정보 제공, 사용자 설정 예약(일정) 알림 기능 제공 등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울산과기원은 대학 최초로 챗봇 내 영문 대화 모델을 구축함으로 글로벌 정보화 대학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할 예정이다.
▶에듀동아 김재성 기자 kimjs6@donga.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에듀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